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오염물질 '과불화화합물(PFAS)' (정의, 환경적·인체적 영향, 처리방법)

728x90
반응형
SMALL

 

 

오늘은 EU, 미국 그리고 한국에서도 떠오르고 있는 환경문제인 과불화화합물(PFAS)에 대하여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과불화화합물(PFAS)이란?

과불화화합물(PFAS)란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의 약어입니다. 

불소(F) 원자와 탄소(C) 원자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입니다.

과불화화합물은 친수성의 특징을 가지므로 수중에 잘 녹아들며,

환경에서 오랜시간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입니다.

 

1938년 미국의 3M사에서 PFOA(perfluorooctanoic acid)가 최초로 합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과불화화합물(PFAS)이 주로 쓰이는 곳은?

1. 방수소재 : 과불화화합물은 방수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의류, 가방, 신발, 텐트 등을

제작 시 방수를 위해 과불화화합물이 사용됩니다. 

 

2. 의료 기기 : 과불화화합물은 의료 기기 중 의료용 장갑, 의료 기계의 표면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3. 산업 전반 : 과불화화합물은 산업체에서 윤활제로 사용되거나, 전자 제품의 부식화 방지를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과불화화합물(PFAS)이 환경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과불화화합물은 환경에서 매우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여 잘 분해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질, 토양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신체에 노출 시에도 분해되지 않고 축적됩니다.

인간이 과불화화합물에 노출 시 발생하는 문제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간 독성

2. 내분비장애

3. 암 발생 위험(특히 간암에 위험)

4. 성장 방해 등

 

또한 최근 기사를 찾아보면 과불화화합물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과불화화합물(PFAS)의 처리방안은?

현재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과불화화합물 처리 방법은 활성탄 흡착법입니다. 

미세 세공이 있는 활성탄에 폐수를 통과시켜 과불화화합물을 활성탄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것 입니다. 

 

오염물질에서 과불화화합물 처리 시, 단순히 과불화화합물을 분리하기만 하면 환경 어딘가에는

어떤 형태로 남게 됩니다. 따라서 과불화화합물은 그 구조를 깨버리는 근본적인 처리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